-
『GO』 다시한번 떠올려 보자 - 1BackEnd/Golang 2022. 1. 17. 11:13
주의
해당 글 내용은 다른 사이트에서 보고 Notion에 정리한 내용 및 코드이기 때문에 제게는 아무런 권한이 없고
원본을 만드신분께 감사함을 표시합니다..(너무 오래되서 어디서 봤는지를 모르겠네요.)
https://github.com/High-PO/golang-study/blob/main/Remind/re1/re1.go
해당 주소로 들어가면 사용한 코드가 나오게 된다.
go lang을 예젖에 기초문법만 잠깐 봤던 적이 있는데 그 당시 기억이 안나서 다시 찾아보던 와중
Notion에 내가 정리해둔게 있어서 그 부분을 보고 코드를 쳐봤다.
기본적인 구조
package main // 패키지 이름은 main이고 단 하나밖에 존재 할 수 없다. import "fmt" // 모듈 fmt 선언 func main() { var s1 string = "HelloWorld" // var는 변수 선언 이다. string은 문자열이라는 뜻이다. fmt.Println(s1) // fmt라는 모듈을 사용해서 출력한다. // `` <- 해당 백쿼트를 사용할 경우 문자열의 여러줄을 입력 할 수 있다. s2 := `안녕하세요. Hello World` // :=의 뜻은 위에서 사용한 s1 string = 과 비슷한 느낌이다. 그냥 s2 안에다가 := 뒤 내용을 넣는다는 뜻이다. // 단, func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밖에서는 var를 사용해야한다. fmt.Println(s2) // fmt라는 모듈을 통해서 s2를 출력했다. }
이미 코드안에 설명을 해두긴 했지만 그래도 대충이나마 설명하자면
package
Go언어는 package 단위로 파일을 잘라서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즉 지금 우리가 보는 곳은 main이고 다른 package이름은 원하는거로 해도 된다.
단, main은 필수이고 main을 제일 먼저 사용한다.import
모듈? 을 import하는 곳 이다.
다른 언어들과 다르게 print하는 기능이 자체적으로 있지 않기 때문에
터미널창에 print되는 것을 보고 싶으면fmt
라는 모듈을 import해주어야 한다.func main(){}
func는 함수를 선언한다. 그중에서 main을 사용하는 것이다.
go lang은 package와 마찬가지로 func도 main부터 사용한다.var s1 string = "Hello World"
var는 변수라는 뜻이고 s1은 변수 이름
string은 타입 중 문자열을 나타낸다.(더 궁금하면 변수형 관련해서 구글에 검색하기!)
= 뒤에 있는 "HelloWorld"는 s1이라는 문자열 타입 변수에 Hello World라는 내용을 넣는 것이다.fmt.Println(s1)
s1의 내용을 fmt라는 모듈에서 Print한다. 근데 ln(Line)으로 출력한다 라는 뜻이다.
s2 := `
안녕하세요(한줄 뛰고) HelloWorld`
:=의 뜻은 앞에있는 변수명에다가 뒤에 내용을 넣는다는 뜻이다.
` ` <-- 이 문자의 경우는 여러줄을 사용할때 사용하면된다.
fmt.Println(s2)
fmt.Println의 뜻은 같고 s2의 내용을 출력한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