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17

【홈서버가 죽었다】 부제: 재발방지 대책?

홈서버?나는 홈서버를 운영중이였다.원래 계획대로 이번엔 클코로 바이브 코딩하는 예제를 올리려고 했다.그러나 금요일 새벽 갑자기 집에 전기가 한번 나갔고 다시 켜지니 서버가 다시 안켜졌다.다음날 본가로 향해야했었기에 어쩔 수 없이 주말간 수리를 하지 못했지만 말이다....영향도운영중이던 웹사이트가 죽었다.당연히 쿠버 클러스터도 다 죽었다.당연히 배포에 필요한 CICD도 다 죽었다.어떻게 해결할까앞으로 정전이 나지 않으면 참 좋겠지만 그건 어려울 것 같다.그래서 내린 결론은 소형 UPS를 달자!로 나왔다.소형 UPS는 저렴한 가격에 구매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정전이 되었었는지도 파악이 가능하니 더 좋을 것 같다.사실 상당히 막막하다 클러스터 다시 만들고 거기에 ArgoCD다시 배포하고 등등 언제 다할지를 모..

DevOps 2025.08.11

【AI를 이용해 생산성을 높이자】 부제: AI를 고민하는 이유?

개요AI를 사용하는 곳은 정말 많다.링크드인을 3분만 둘러보면 너도 나도 모두 AI 이야기만 한다.그러나 이러한 글들이 많다고해서 실제로 AI를 사용하는 사람이 정말 많을까?많은 보안 컴플라이언스 요건을 무시하고도 사용하는 곳이 정말 많을까?아니라고 생각한다. 거부감이 있는사람부터 보안적 신뢰를 하지 못해서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등 정말 다양하다고 생각한다. 정말 안전한가?보안적으로 안전한지는 솔직하게 말해서 "모르겠다"그러나 당신이 개발자라면 한가지 묻고 싶다. '당신이 작성한 코드가 그렇게나 유출되면 크리티컬한가?'Github에 있는 이름모를 인도 개발자, 중국의 신원미상 개발자들이 올린 코드보다 더욱 좋은 퀄리티를 가졌는가? 물론 아이디어나 사업모델에 대한 보안유출이 걱정되는 것이면 걱정하는 방향이 ..

DevOps 2025.07.28

【기초 CS지식 파기 1편】 부제: HTTP/S 차이와 프로세스/쓰레드의 차이

개요송주영 아키텍트님이 올리신 http/https 차이에 대한 영상을 보고 갑자기 생각나서 작성해본다. HTTP/S 차이?HTTP → 웹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와 서버간의 통신 규약이다.HTTPS → HTTP에 TLS라는 과정(레이어)를 추가한 방식의 통신 규약이다. 과정HTTP[과정]1. DNS 조회: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수행2. TCP 연결: 3-Way HandShake가 동작3. HTTP 요청: 클라이언트 → 서버로 요청 전송4. HTTP 응답: 서버 → 클라이언트로 응답 반환5. TCP 연결 종료: 4-way-handshake가 동작 3-way-handshake가 뭔가요?- TCP연결을 수립할때 사용되는 절차이다. 그걸 왜하나요?- TCP는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통..

DevOps 2025.07.23

【서비스의 만족도를 올려보자】 부제: SLI·SLO·SLA에 대한 고찰

개요왜 우리는 DevOps, SRE 직무에 종사하고 있을까?기업은 바보가 아니다. 이유가 있기 때문에 현업 종사자들에게 금액을 지불하고 업무를 맡기는 것 이다.그중 DevOps와 SRE와 같은 엔지니어들이 해야하는 필수적인 사항이 있다. 바로 안정적인 인프라, 서비스 제공이다.나는 이 본질을 잊고 지냈다.기술에 매몰되어 다양한 기술을 연마하는데만 집중을 했다. 앞으로 이런 시각을 기르기 위해 난 SLI, SLA, SLO와 같은 전략을 적극적으로 몸에 벨 수 있도록 더욱 노력 해보려한다.SLI, SLA, SLOSLA란?SLA는 대상에게 제공하는 최소한의 지표에 대한 계약을 의미한다. 내가 외주를 맡기는 A회사라고 가정해보자.A회사에게 B라는 회사가 "우리한테 서버 운영을 맡기면 1년 기준 99.99%의 업..

DevOps 2025.07.02

DevOps 문화

글을 쓰는 이유요즘 들어 직무와 커리어패스에 대한 고민이 많아 스스로 정리해보고자 작성한다. DevOps란 무엇일까.나는 아직 너무나도 연차가 낮은 고작 경력 2년에 이제 3년차인 엔지니어다.DevOps라는 것은 문화라고 늘상 배우고 생각만 했다.그러나 이제는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아름다운 인프라를 위해서 어떤 것들을 진행해야하는지 써내려가보고 싶다. DevOps? Development, Operations 이 합쳐진 단어다.즉, System Engineer와 같이 기존에 있던 단어가 아니라 두개의 단어가 합쳐져서 파생된 새로운 단어라는 뜻이다.DevOps는 누구나 할 수 있다.Network Engineer, System Engineer, SoftWare Engineer등 DevOps Engin..

DevOps 2025.03.04

『K8S』 API Service란?

K8S에 존재하는 API서비스란?k8s에는 api service라는 것이 존재한다.이는 API를 통해 컨테이너간 통신으로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service이다.상세한 API를 사용하는 기본 컴포넌트 서비스들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overview/components/ 쿠버네티스 컴포넌트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컴퓨터 집합인 노드 컴포넌트와 컨트롤 플레인 컴포넌트로 구성된다.kubernetes.io 중복되면 어떻게 되는가?일반적으로 helm차트를 통해서 관리가 되는 기업들의 특성상 개인적으로 생성한 API Service의 경우 helm chart는 같은 Annotation을 가지고 있게 될 경우 소유권을 검사하게 된..

DevOps/K8S 2024.09.23

『모니터링』InfluxDB설치(docker-compose)

InfluxDB란?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이며, 이전 포스트에서 작성한대로 Telegraf에 데이터를 받아올 목적이다. 설정법 influxdb는 v1과 v2가 있다. v2의 경우 새로운 문법을 사용하기에 공부가 조금 필요하다. 해당 포스트에서는 v2기준으로 작성하였다. 먼저 docker와 docker-compose를 설치한다. docker-compose버전의 경우는 아래 링크에서 원하는 버전으로 수정하여 다운하면 된다.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 sudo yum install docker -y sudo systemctl start docker sudo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

DevOps 2023.08.20

『모니터링』Telegraf 에이전트 설정

Telegraf란? 모니터링을 위해 CPU, Memory, Disk 등의 정보를 InfluxDB(대표적)나 다른 DB등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Cloudwatch Agent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될 듯 하다. 설정법 우선 설치를 위해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해야한다. https://docs.influxdata.com/telegraf/v1.27/install/ Install Telegraf | Telegraf 1.27 Documentation Thank you for your feedback! Let us know what we can do better: docs.influxdata.com 여기서 내리다보면 자신의 환경에 맞게 설치가 가능하다. Ubuntu, Debian wget -q https:..

DevOps 2023.08.20

『리눅스』awk란? 그리고 사용법

AWK란? 생소한 이름이고 이름 자체에 뜻은 없다. 만든 사람이름 세명 합쳐서 만들었다. "에이더블유케이"라고 발음하는 사람도 있고 "아크", "오크"라고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 편한대로 읽으면 될 듯 하다. 보통 파일, 결과값을 슬라이싱하고 추출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정규표현식과 함께 사용이 가능해서 상당히 유용하다. 사용법 보통 형식은 다음을 따른다. awk 'pattern { action }' file 위 형식은 대표적인 형식이다. pattern: 조건을 지정하는 부분이다. 패턴에 맞는 라인들을 선택하여 처리한다.. action: 패턴에서 설정한 부분에 대해 수행할 동작을 설정한다. file: 처리할 파일의 이름을 지정한다. 비워둘 수도 있다. 간단한 예시를 작성해두었다. # 파일 내용 출력 awk..

DevOps 2023.07.27

『DevOps』DevOps란? 그리고 공부할 부분은?

글 시작전다 경험과 뇌피셜로 작성한 글이다...정답이 작성된 것이 아니니 자유롭게 생각을 댓글로 작성해주면 될 것 같다.DevOps엔지니어란?솔직하게 말해서 되게 추상적인 개념이라는 생각이 든다.물론 해당 직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확실하게 되어 있으나 업무의 스펙트럼이 상당히 넓다. 우선 DevOps엔지니어는 일반적으로 CICD, K8S, Git버전관리를 담당하는 직무라고 생각한다.큰 회사에서는 DevOps엔지니어는 위 3가지만 담당하나, 작은 규모의 기업은 개발, 인프라까지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CICDCICD의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구축하여 실제로 운영중인 인프라에 무중단(최소의 다운타임을 가진채) 배포가 가능하여야하며문제가 발생하여 롤백되었을 경우 기존의 존재, 운영중이던 코드로 복귀하여 사용자..

DevOps 2023.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