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17

『EKS』EKS Security Group설정

문제 EKS Cluster에서 SecurityGroup을 설정하고 싶은데 대부분의 기본 예제에서는 생략되어있다. 해결 아래와 같이 securityGroup이라는 구문을 추가하면 된다. --- apiVersion: eksctl.io/v1alpha5 kind: ClusterConfig metadata: name: non-eksctl-created-cluster region: us-west-2 vpc: id: "vpc-12345" securityGroup: "sg-12345" # this is the ControlPlaneSecurityGroup subnets: private: private1: id: "subnet-12345" private2: id: "subnet-67890" public: public1:..

DevOps/K8S 2022.08.12

『Docker』Docker 명령어 및 정리

타 블로그 복붙입니다. 링크 하단에 있습니다. 아래 모든 내용은 https://velog.io/@guri_coding/야-Docker이리나와-2-오류-및-명령어 의 내용을 복붙했습니다. 제가 한거 1도 없이 복사만 했습니다. 1. Docker Trouble Shooting 1.1 Docker push: manifest invalid 같은 태그의 Docker 버전을 다시 푸시했을 때 허가되지 않아 실패하는 경우 1.2 Docker pull: missing signature key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Docker push 명령어를 다시 한 경우 1.3 Docker cp: Error response from daemon: not a directory symbol link 내에 컨테이너 폴더가 있는 경우 1...

DevOps/Docker 2022.08.12

『Docker』ECR로 이미지 업로드시 생기는 Docker 권한 문제 해결

문제 Docker 명령어로 build한 Docker image를 Amazon ECR로 업로드할때 생기는 권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Got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at unix:///var/run/docker.sock: Get "http://%2Fvar%2Frun%2Fdocker.sock/v1.24/containers/ json": dial unix /var/run/docker.sock: connect: permission denied 위와 똑같진 않아도 permission denied(퍼미션 디나이드)는 대부분 user의 권한문제이다. aws 권한과는 관련없다. 해결 sudo usermod..

DevOps/Docker 2022.08.12

『Cache』캐시란?

캐시란? 캐시는 자주 엑세스하는 정보에 대한 임시 공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서버에 직접 접근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서버의 정보를 변경하고 적용이 안될 경우 기존 브라우저의 캐시를 삭제하는 것이다. 단, 캐시는 아주 빠른 엑세스 속도를 제공하는 만큼 디스크에 비해서 적은 용량이다. 일반적으로 RAM과 같이 엑세스를 빠르게 할 수 있는 하드웨어에 저장된다. AWS에서는 어디에서 쓰일까? 사실 Cloudfront를 하기 앞서서 간단히 정의한 것이다. 다른 서비스에서도 많이 사용되지만 그냥 Cloudfront전에 캐시에 대한 내용을 대충이나마 적었다. Amazon ElastiCache라는 서비스 또한 캐싱 서비스이다.

DevOps 2022.07.12

『DevOps』질문 리스트

개요DevOps 면접을 준비하며 작성하였던 내용이다.이 내용은 추후 계속 추가될 수 있고, 삭제 될 수 있다. 누군가가 이 내용을 보고서 도움이 되었다면 정말 좋겠으나, 우선은 혼자 보려고 만들어 본다. 내용DevOps는 기본적으로 문화이다.개발의 Development와 운영의 Operation의 앞글자를 따서 Dev + Ops 인 DevOps이다.즉 개발과 운영이 조화롭고 자연스럽게 돌아갈 수 있게 해주는 하나의 문화이다. DevOps 엔지니어, DevOps 개발자의 경우는 이 문화를 직접적으로 체험하지는 못한다.이유는 다음과 같다.실제로 DevOps 엔지니어는 개발자, 운영자가 아니다.개발의 영역에 손을 대기엔 업무 범위를 침범하는 행위이다.운영의 영역에 손을 대기엔 업무 범위를 침범하는 행위이다.그..

DevOps 2022.07.11

『K8S』ArgoCD란?

ArgoCD란? ArgoCD는 GIT을 통해 Manifast가 업로드되면 해당 Manifast를 기반으로 배포를 해주는 서비스이다. CD(Continuous Delivery)이기 때문에 실제로 환경을 구축해서 사용을 해보려고 한다면 CI부분이 따로 필요하다. 이때 Jenkins를 사용하는게 배스트가 될 수도 있다. ArgoCD의 원리 K8S상에서(나는 EKS에서 했다) argocd라는 namespce를 생성한뒤 여기서 템플릿으로 제공된 manifast파일을 사용해서 apply시키면 끝이다. 그 뒤 본인의 경우 NodePort로 파일을 edit하여 로컬과 포트포워딩 시켜서 사용한다. 실습 실습은 CodeBuild, CodeDeploy, EKS, ECR과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여기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을 ..

DevOps/K8S 2022.06.21

『K8S』쿠버네티스 기본 이론

간단한 설명 kubernetes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컨테이너들을 관리해주는 오케스트레이션입니다...! 다른 딥한 내용보다는 간단하게 이론 부분만 설명해보겠습니다. 간단한 구조 구조는 다음과 같다. 하나의 OS인 Node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 안에는 Deployment라고 하는 pods 즉 각각의 하나의 컨테이너를 AutoScaling해주는 것이 존재한다. 여기서 Deployment가 Pods를 생성하였는데 Pods가 죽거나 삭제될 경우 설정한 Replicas(원하는 파드갯수)에 따라서 다시 생성이 된다. 즉 Node(노드)는 하나의 작은 컴퓨터이다. deployment는 AutoScaling이며(원하는 이미지로 일정 갯수 생성) pod(파드)는 하나의 컨테이너이다. 정리 정리를 하자면 각각 크기의 순서..

DevOps/K8S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