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5

【서비스의 만족도를 올려보자】 부제: SLI·SLO·SLA에 대한 고찰

개요왜 우리는 DevOps, SRE 직무에 종사하고 있을까?기업은 바보가 아니다. 이유가 있기 때문에 현업 종사자들에게 금액을 지불하고 업무를 맡기는 것 이다.그중 DevOps와 SRE와 같은 엔지니어들이 해야하는 필수적인 사항이 있다. 바로 안정적인 인프라, 서비스 제공이다.나는 이 본질을 잊고 지냈다.기술에 매몰되어 다양한 기술을 연마하는데만 집중을 했다. 앞으로 이런 시각을 기르기 위해 난 SLI, SLA, SLO와 같은 전략을 적극적으로 몸에 벨 수 있도록 더욱 노력 해보려한다.SLI, SLA, SLOSLA란?SLA는 대상에게 제공하는 최소한의 지표에 대한 계약을 의미한다. 내가 외주를 맡기는 A회사라고 가정해보자.A회사에게 B라는 회사가 "우리한테 서버 운영을 맡기면 1년 기준 99.99%의 업..

DevOps 2025.07.02

DevOps 문화

글을 쓰는 이유요즘 들어 직무와 커리어패스에 대한 고민이 많아 스스로 정리해보고자 작성한다. DevOps란 무엇일까.나는 아직 너무나도 연차가 낮은 고작 경력 2년에 이제 3년차인 엔지니어다.DevOps라는 것은 문화라고 늘상 배우고 생각만 했다.그러나 이제는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아름다운 인프라를 위해서 어떤 것들을 진행해야하는지 써내려가보고 싶다. DevOps? Development, Operations 이 합쳐진 단어다.즉, System Engineer와 같이 기존에 있던 단어가 아니라 두개의 단어가 합쳐져서 파생된 새로운 단어라는 뜻이다.DevOps는 누구나 할 수 있다.Network Engineer, System Engineer, SoftWare Engineer등 DevOps Engin..

DevOps 2025.03.04

『K8S』 API Service란?

K8S에 존재하는 API서비스란?k8s에는 api service라는 것이 존재한다.이는 API를 통해 컨테이너간 통신으로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service이다.상세한 API를 사용하는 기본 컴포넌트 서비스들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overview/components/ 쿠버네티스 컴포넌트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컴퓨터 집합인 노드 컴포넌트와 컨트롤 플레인 컴포넌트로 구성된다.kubernetes.io 중복되면 어떻게 되는가?일반적으로 helm차트를 통해서 관리가 되는 기업들의 특성상 개인적으로 생성한 API Service의 경우 helm chart는 같은 Annotation을 가지고 있게 될 경우 소유권을 검사하게 된..

DevOps/K8S 2024.09.23

『Game Day』 Game Day 후기

후기만족스러운 결과는 아니였다.중간 언저리에 위치하는 결과로 마무리를 짓게 되었다. 여기서 가장 의문이 들었던건 공부시간이 충분했는가? 에 대한 물음이다. 중간중간 시간 날때마다 보면서 하는 방식의 공부는 아무래도 고등학교 시절 대회를 준비하는 과정보다집중력이 떨어지기 마련이였다. 이번에 나온 서비스들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Partry Rock을 통해서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PlayGround를 구성하는 내용- BedRock으로 요청을 보내는 Lambda Code에 대한 수정- BedRock Voice Analytics 기능을 통해 전화 데이터를 추출해서 분석해준 뒤 여기서 원하는 값을 파싱하는 내용- StepFunction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내용 중 오류가 발생되는 Step을 찾아 Trouble ..

AWS 2024.05.23

『Game Day』 사전 준비를 위한 요약 내용(2024)

Game Day란? AWS에서 주최하는 큰 행사인 AWS Summit 내에서 주최하는 작은 게임 대회이다. 게임이라고해서 실제 게임을 진행하는 것은 아니고, 특정한 환경을 제공하였을때 제시한 내용에 맞추어 구성하는 구조이다. 현재는 2024년도 Summit 이기 때문에, AWS Summit Seoul 2024에서 진행되는 Game day에 대해서 간단하게 작성해볼 예정이다. 참조 사이트 관련 서비스 Amazon Bedrock Amazon Transcribe Amazon S3 Amazon API Gateway Amazon DynamoDB AWS Lambda AWS Cloud9 AWS Step Functions PartyRock 위 서비스들이 주력으로 나온다고 AWS측에서는 작성해두었다. 분류 및 요약 크게..

AWS 2024.04.16

『EKS』 EKS사용시 필수 설치 리스트

eksctl eks를 컨트롤하기 위한 eks전용 패키지다.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emr/latest/EMR-on-EKS-DevelopmentGuide/setting-up-eksctl.html eksctl 설치 - Amazon EMR Amazon EMR on EKS를 설정하려면 eksctl 0.34.0 버전 이상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Amazon EMR on EKS의 일부 기능에 최신 버전이 필요하므로 최신 eksctl을 다운로드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eksctl docs.aws.amazon.com 실제로 리눅스에선 아래 명령어만 사용하면 된다. curl --silent --location "https://github.com/we..

AWS/EKS 2024.04.01

『IAM』 AWS CLI 동작 우선순위

문제 상황 aws cli를 사용하던 도중 내 인스턴스 Profile이 우선으로 동작하는지 아니면 인스턴스에 연결된 IAM 계정이 우선 동작하는지 공식답변 공식적으로 aws에서는 아래의 순서대로 적용이 된다고 공식문서에 정의해두었다. 1. 명령어 라인 옵션 – 명령어 실행 시 --access-key-id, --secret-access-key, --session-token 등의 옵션 2. 환경 변수 – AWS_ACCESS_KEY_ID, AWS_SECRET_ACCESS_KEY, AWS_SESSION_TOKEN 등의 환경 변수 3. CLI 자격 증명 프로파일 – AWS CLI config 파일에 저장된 자격 증명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profile 옵션으로 특정 프로파일을 선택(--profile안쓰..

AWS 2023.10.24

『모니터링』InfluxDB설치(docker-compose)

InfluxDB란?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이며, 이전 포스트에서 작성한대로 Telegraf에 데이터를 받아올 목적이다. 설정법 influxdb는 v1과 v2가 있다. v2의 경우 새로운 문법을 사용하기에 공부가 조금 필요하다. 해당 포스트에서는 v2기준으로 작성하였다. 먼저 docker와 docker-compose를 설치한다. docker-compose버전의 경우는 아래 링크에서 원하는 버전으로 수정하여 다운하면 된다.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 sudo yum install docker -y sudo systemctl start docker sudo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

DevOps 2023.08.20

『모니터링』Telegraf 에이전트 설정

Telegraf란? 모니터링을 위해 CPU, Memory, Disk 등의 정보를 InfluxDB(대표적)나 다른 DB등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Cloudwatch Agent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될 듯 하다. 설정법 우선 설치를 위해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해야한다. https://docs.influxdata.com/telegraf/v1.27/install/ Install Telegraf | Telegraf 1.27 Documentation Thank you for your feedback! Let us know what we can do better: docs.influxdata.com 여기서 내리다보면 자신의 환경에 맞게 설치가 가능하다. Ubuntu, Debian wget -q https:..

DevOps 2023.08.20

『네트워크』롱기스트 매치 룰(longest match rule)이란?

롱..기누스 매치 룰? 사실 간단하다. 라우팅이 진행될때 조금 더 확실한(작은단위)로 라우팅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aws에서 라우트 테이블 설정을 할때 192.168.0.0/16대역 트래픽은 peering으로 다른 계정의 VPC로 라우팅 시키고 싶은데 단 하나 192.168.1.0/24 트래픽만 현재 계정의 VPC로 라우팅 시키고 싶을 때 해당 방식을 사용한다. (우리도 모르게)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던 작은 단위로 보내는 그 네트워크의 성질이 바로 롱기스트 매치 룰이다. 그래서 엔드포인트를 사용하게 될 경우 롱기스트 매치 룰로 인해서 엔드포인트를 향해 흐르게 되는 것 이다. 이렇게 설정을 하게 되었을 경우 내부를 통해서 트래픽이 흐르기 때문에 조금 더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 한 것이다. 비교적 외..

AWS 2023.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