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 3

【AI를 이용해 생산성을 높이자】 부제: AI를 고민하는 이유?

개요AI를 사용하는 곳은 정말 많다.링크드인을 3분만 둘러보면 너도 나도 모두 AI 이야기만 한다.그러나 이러한 글들이 많다고해서 실제로 AI를 사용하는 사람이 정말 많을까?많은 보안 컴플라이언스 요건을 무시하고도 사용하는 곳이 정말 많을까?아니라고 생각한다. 거부감이 있는사람부터 보안적 신뢰를 하지 못해서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등 정말 다양하다고 생각한다. 정말 안전한가?보안적으로 안전한지는 솔직하게 말해서 "모르겠다"그러나 당신이 개발자라면 한가지 묻고 싶다. '당신이 작성한 코드가 그렇게나 유출되면 크리티컬한가?'Github에 있는 이름모를 인도 개발자, 중국의 신원미상 개발자들이 올린 코드보다 더욱 좋은 퀄리티를 가졌는가? 물론 아이디어나 사업모델에 대한 보안유출이 걱정되는 것이면 걱정하는 방향이 ..

DevOps 2025.07.28

【기초 CS지식 파기 1편】 부제: HTTP/S 차이와 프로세스/쓰레드의 차이

개요송주영 아키텍트님이 올리신 http/https 차이에 대한 영상을 보고 갑자기 생각나서 작성해본다. HTTP/S 차이?HTTP → 웹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와 서버간의 통신 규약이다.HTTPS → HTTP에 TLS라는 과정(레이어)를 추가한 방식의 통신 규약이다. 과정HTTP[과정]1. DNS 조회: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수행2. TCP 연결: 3-Way HandShake가 동작3. HTTP 요청: 클라이언트 → 서버로 요청 전송4. HTTP 응답: 서버 → 클라이언트로 응답 반환5. TCP 연결 종료: 4-way-handshake가 동작 3-way-handshake가 뭔가요?- TCP연결을 수립할때 사용되는 절차이다. 그걸 왜하나요?- TCP는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통..

DevOps 2025.07.23

【서비스의 만족도를 올려보자】 부제: SLI·SLO·SLA에 대한 고찰

개요왜 우리는 DevOps, SRE 직무에 종사하고 있을까?기업은 바보가 아니다. 이유가 있기 때문에 현업 종사자들에게 금액을 지불하고 업무를 맡기는 것 이다.그중 DevOps와 SRE와 같은 엔지니어들이 해야하는 필수적인 사항이 있다. 바로 안정적인 인프라, 서비스 제공이다.나는 이 본질을 잊고 지냈다.기술에 매몰되어 다양한 기술을 연마하는데만 집중을 했다. 앞으로 이런 시각을 기르기 위해 난 SLI, SLA, SLO와 같은 전략을 적극적으로 몸에 벨 수 있도록 더욱 노력 해보려한다.SLI, SLA, SLOSLA란?SLA는 대상에게 제공하는 최소한의 지표에 대한 계약을 의미한다. 내가 외주를 맡기는 A회사라고 가정해보자.A회사에게 B라는 회사가 "우리한테 서버 운영을 맡기면 1년 기준 99.99%의 업..

DevOps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