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24

『EC2』Cloud-init

Cloud-init란? Cloud-init는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할때 사용되는 오픈소스 솔루션이다. 인스턴스 초기화를 위해서 업계 표준으로 사용되는 다중 배포 오픈소스 솔루션으로 AWS와 같은 Public Cloud에서 사용된다. OS(Image)가 부팅이 될때 제공된 메타데이터를 읽는다. 그리고 그 데이터값에 의거하여 시스템 초기화를 진행한다. Cloud-init의 동작방식 동작방식은 OS가 부팅이 될때 총 5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1. Generator 2. Local 3. Network 4. Config 5. Final 인스턴스 재부팅시에는 /etc/cloud/cloud.cfg의 정보를 읽고 5단계를 걸친뒤에 모듈, 설정 정보를 실행하여 반영한다. 아래의 코드내용은 CentOS기준으로 확인..

AWS/EC2 2022.06.20

『EKS』EKS연결 및 간단하게 사용해보기

주의 본 내용은 AWS-EC2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와 컨테이너 기술에 대한 간단한 기초이론이 있어야지 이해할 수있습니다. 개요 저번에는 간단하게 EKS Cluster를 생성하는 시간을 가졌었습니다. EKS를 생성할때는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복잡한 작업없이 원하는 수의 노드를 생성이 가능하고 마스터 - 워커 노드에 관해서 크게 생각할 필요없이 바로 생성이 가능해서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EKS라는 것에 어떻게 명령을내려서 컨테이너들을 관리할 수있을까요? 바로 kubectl과 우리가 생성한 eks를 연결해주고 eksctl이라는 것을 이용해서 eks를 관리할 수있습니다. kubectl 명령도 여기서도 작동을 하죠! 왜? EKS가 연결되어있어서 kubernetes를 쓰는 것처럼 할 수있..

AWS/EKS 2022.02.13

『EKS』EKS 정의 및 간단한 구성방법

간단한 이론 우선 EKS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다음과 같다. " Amazon Web Service에서 지원하는 Kubernetes Service " EKS 말고도 구글의 GKE 에저의 AKS등등 퍼블릭 클라우드에서는 클라우드를 무조건 지원하는 추세이다. 그럴만도 하다. 컨테이너 기술 자체가 클라우드와 결합되면 큰 시너지를 내기 때문이다. EKS를 알기 위해선 원조인 쿠버네티스(Kubernetes)부터 간단히 설명이 필요하다. 우선 Kubernetes 줄여서 K8S(K와 S사이에 8글자라서 그렇다고 한다.)는 컨테이너들을 관리해주는 오케스트레이션(지휘자)서비스 이다. 즉 컨테이너들이 여러개가 있는 환경에서 여러가지 기능이 필요할때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을 AWS라는 퍼블릭클라우드에서 관리해주고 사용하기 쉽..

AWS/EKS 2022.02.12

『AWS』Cloud 입문시 TIP

시작하기 앞서 해당 글의 내용은 참고만 하시되 100% 신뢰하지는 마세요! 개인의 의한 글이기 때문에 오류, 오타,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언제 시작해야할까? 시작하는 타이밍은 딱히 상관없으나 현재 하고 있는 일에서 필요성을 느낀다면 그때해도 충분합니다. 어떤걸 공부해야할까? 지인에게 듣기로 요즘 클라우드를 할 줄 아는 BackEnd 개발자는 많으나 네트워크 자체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개발자는 적다고 합니다. 그러면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즉 서버단에서 일어나는 네트워크에 흐름에 대한 이해를 하시게 된다면 개발 및 배포 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아래 두개를 하면 유익 할 듯 합니다. 네트워크 공부 클라우드 서비스(개발자라면 DevOps관련 툴을 잘 하시면 좋겠죠?)에..

AWS 2022.01.14